입안의 불청객 ‘사랑니’, 꼭 뽑아야 하나요? / 구강악안면외과 오주영 교수

오주영교수

▲구강악안면외과 오주영 교수

 

‘사랑을 알게 될 나이가 되면 나는 치아’라는 뜻의 사랑니.
그러나 로맨틱한 이름과는 달리 사랑니가 유발하는 충치나 염증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사랑니는 왜 나는 것일까.

 

사랑니’ 왜 자라나요?

지독한 통증만 유발하고 쓸모없어 보이는 사랑니, 도대체 왜 자라는 걸까? 사랑니는 익히지 않은 질긴 음식을 먹던 과거 인류에게 필요했다. 다른 어금니와 마찬가지로 음식물을 씹어 소화하기 좋게 도왔던 사랑니는 부드럽고 익힌 음식을 먹는 식습관이 보편화되면서 퇴화했다. 하지만 비뚤게 올라오거나 사랑니 위로 잇몸이 덮여있어 정상적인 치아의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발치가 필요해요

사랑니는 통상적으로 뽑아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다른 치아처럼 곧게 나오고 충치가 없으며, 칫솔질이 잘된다면 그대로 놔둬도 된다. 다만 정기적인 스케일링과 구강검진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사랑니를 발치해야할까?

 

발치 후, 이렇게 관리해요!
◎ 기울어져 나는 사랑니
눕거나 삐뚤어져 있는 사랑니는 자라면서 인접 치아나 잇몸에 염증과 충치를 유발하는 등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 잇몸 속에 매복된 사랑니
매복된 사랑니는 칫솔질이 제대로 되지 않아 잇몸이나 치아를 상하게 해 감염의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해 물혹(낭종)이 발생할 수 있는데 물혹은 종양으로 변하기도 한다.

◎ 충치가 있으며 잇몸이 붓고 통증이 심한 사랑니
충치가 생겨 통증이 심해지면 잇몸뿐만 아니라 뺨, 편도선, 림프절까지 붓게 하여 고통이 더욱 심해지고 주위의 뼈까지 염증이 퍼질 수 있다.

◎ 음식물이 잘 끼는 사랑니
음식물이 끼면 충치와 구취의 원인이 된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될 때마다 감염되어 잦은 통증을 겪을 수 있다.

 

발치 당일

– 발치 직후 물려준 거즈를 두 세시간 동안 물고 있으면서 환부를 지혈한다.
– 침이나 피는 뱉지 말고 삼킨다.
– 마취가 안 풀린 상태라면 혀, 볼 등을 깨물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먹고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발치 부위는 구강 세척제를 사용하고 환부를 피해 조심스레 양치한다.

 

발치 후 일주일까지

– 부기 완화와 지혈에 도움이 되도록 베개를 높게 벤다.
– 잇몸의 통증과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냉찜질을 한다.
– 과격한 운동, 목욕, 사우나 등은 삼간다.
– 흡연과 음주는 환부에 해로우므로 피한다.
–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 입안에 자극을 주는 음식은 삼간다.
– 감염이 의심된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 진료받는다.

 

▶Doctor
구강악안면외과 오주영 교수
– 전문진료분야 : 악안면감염, 악안면외상, 악교정 수술, 임플란트, 발치
– 진료시간 : 오전(화, 금) / 오후(화, 목)
– 문의 : 02.958.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