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내과 전숙 교수
당뇨병은 발가락 괴사부터 뇌졸중까지, 또 심장부터 신장까지 온몸 구석구석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침묵의 살인자’다.
우리나라 30세 이상의 성인 인구 중 12.4%가(400만 명)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당뇨병의 조절 상태 역시 심각한 상황으로, 혈당 조절 목표치인 당화혈색소 6.5% 미만으로 조절이 잘 되는 환자는 전체의 27.9%에 불과하다. 결국 이런 상황은 당뇨병 관련 합병증 발생의 증가로 이어진다.
신체 곳곳의 기관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당뇨병은 그 합병증이 실명 원인 1위, 교통사고를 제외한 족부절단 1위, 만성신부전 원인 1위라는 불명예를 갖고 있다.
우리 몸 곳곳을 위협하는 당뇨병
당뇨 합병증은 혈당의 급격한 변화로 생명과 직결되는 ‘급성합병증’과 장기간 고혈당 상태로 발생하는 ‘만성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으로는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의 심혈관질환과 뇌혈관질환, 망막증, 신장병, 신경병증 등의 미세혈관 합병증이 있다.
혈류 막혀 생기는 뇌혈관질환
대뇌동맥에 혈전이 생기거나 심장과 경동맥 등 다른 부위에서 생긴 혈전 조각이 대뇌동맥으로의 혈류를 막으면 뇌경색이 생길 수 있다.
당뇨환자 사망원인 1위, 심혈관질환
당뇨병 환자 사망 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이다. 환자들은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혈당 조절과 함께 더 철저한 혈압 조절(140/85mmHg 이하), 철저한 금연, 고지혈증의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더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증상이 없더라도 관상동맥질환의 선별검사를 받아 한번 발생하면 치명적인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망막증 등 눈과 관련된 합병증은 2008년 23만 명에서 2012년 31만 명으로 당뇨 합병증 중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 당뇨병성 망막증은 눈의 망막에 혈액을 공급하는 모세혈관이 막히거나 이를 대체하기 위해 생긴 신생혈관이 터지면서 발생한다. 망막 중심의 초점이 맺히는 황반부가 붓는 경우 시력상실로 이어진다.
혈액투석으로 이어지는 미세혈관(신장) 합병증
당뇨병 신장병은 혈액을 걸러 소변을 만들어내는 콩팥의 커다란 모세혈관 덩어리인 사구체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다. 혈액을 여과하지 못해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되고 결국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인공으로 혈액투석을 받게 되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저림, 당김 증상 나타나는 말초혈관질환
팔, 다리, 발 등 주요 혈관의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보행 시나 운동 시 사지 근육의 저림이나 당기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병이 더욱 진행되면 휴식 시에도 증상이 나타나거나 통증을 느낄 수 있고 피부 궤양, 괴저까지 일으킬 수 있다.
발을 위협하는 당뇨병성 족부병변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말기합병증으로 신체 장애의 중요한 원인이다. 매년 10~12만 명이 당뇨병성 족부병으로 발을 자를 정도로 심각하다. 당뇨병에 의해 말초신경이 손상되면서 감각이 둔해지고, 동반되는 혈액순환장애로 상처가 아물지 않아 발이 썩는다. 특히 당뇨병이 오래되면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갈라지고 상처가 쉽게 나며 무좀 등의 감염이 동반된 경우가 많다. 항상 발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작은 상처도 주의해 치료해야 절단에 이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당뇨병 혈당치 악화의 원인, 치주질환
치주질환은 만성염증성 질환으로 특정인자의 분비촉진을 통해 당뇨병의 혈당치를 악화시키며, 이로 인한 고혈당이 동맥경화를 가속화시키고 나아가 협심증, 심근경색증을 유발할 수 있다.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양치질을 습관화해야 한다. 최소 하루 2번, 2분 정도의 칫솔질이 필요하다.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사용하면 치태의 95%까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3~4개월에 한 번씩 스케일링 받는 것이 좋다.
당뇨 합병증 예방·관리법
대혈관합병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 혈중 지질 농도 조절
– 혈압 정상화
– 금연
– 혈당 조절
– 체중 조절
– 규칙적 운동
미세혈관합병증
(망막증, 신장병, 신경병증 등)
– 혈당 조절
– 혈압 정상화
– 정기적 안과검진
– 미세단백뇨 검사
– 발 관리
Doctor
내분비내과 전숙 교수
– 전문진료 분야 : 당뇨병, 갑상선질환, 내분비질환, 비만
– 진료시간 : 월(종일), 화·목·금(오전), 토(①③⑤)
– 문의 : 02-958-8822